여름철 식중독에 주의해야 한다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실 텐데요. 대부분 상한 음식만 피하면 괜찮다고 생각하시지만 최근 냉면과 김밥을 먹고 식중독에 걸렸다가 사망하는 경우까지도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살모넬라 식중독인데요. 아래에서 살모넬라 식중독이란 무엇이고, 예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살모넬라 식중독이란
1. 살모넬라 식중독 사례
최근 경남 김해의 한 식당에서 냉면을 먹은 60대 남성이 사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고 하는데요. 이곳에서 냉면을 먹은 손님 중 34명이 식중독에 걸렸고, 60대 남성은 치료를 받다가 사흘 만에 숨졌다고 합니다.
부검 결과 사망 원인은 패혈성 쇼크,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이 혈관까지 침투해 온몸에 염증을 일으킨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지난해에도 이와 유사하게 경기 고양시의 한 김밥집 고객 30명이 식중독 증세를 보이고 이 가운데 20대 여성 1명이 목숨을 잃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 여성은 김밥을 먹고 이튿날부터 고열, 설사, 구통, 복통 등에 시달리다 쓰러졌고 4시간 만에 숨졌다고 하는데요. 달걀지단에서 여름철 대표적인 식중독 원인균인, 살모넬라균이 검출된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2. 살모넬라 식중독
살모넬라는 닭이나 돼지 등 동물의 장내에 서식하는데요. 섭취할 경우 복통·설사·구토·발열 등 위장 장애를 일으킵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2017~2021년) 간 모두 110건, 6838명의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가 보고됐다고 하는데요.
- 이 가운데 41건, 5257명(77%)은 계란 또는 계란지단 등이 포함된 식품을 먹고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살모넬라균은 다른 오염균들과 달리 냄새와 맛 등으로 전혀 구별할 수 없고, 기온과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번식이 쉬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5년간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 6838명 가운데 5133명이 7월~9월에 보고됐다고 하니 여름철에 특히 주의해야 되는 식중독이죠.
특히 계란을 주재료로 사용하는 김밥, 육전이나 계란지단을 얹어 제공되는 밀면, 냉면 등의 경우 조리 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한데요. 세척하지 않은 계란이나 날계란, 덜 익힌 계란, 오염된 육류 등을 먹는 경우 식중독 감염 가능성은 커진다고 합니다.
3.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이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가. 달걀 구입 시 균열이 없고 냉장 보관된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나. 계란 구입 이후에는 가급적 아이스박스나 아이스팩을 이용해 차가운 상태를 유지해 집으로 가져와야 합니다.
다. 집에 도착하면 되도록 도착 즉시 냉장고로 옮기고, 교차 오염을 막기 위해 채소 등과 직접 닿지 않게 해야 합니다.
라. 요리 전 달걀을 반드시 세척하고, 조리도구는 용도별로 구분해 쓰며 75℃ 이상에서 1분 넘게 충분히 가열해야 합니다.
보통 배가 아파서 설사를 하게 되면 지사제를 많이들 드시는데요. 식중독으로 인한 배앓이 증상이 나타날 때는 지사제를 성급히 먹으면 안 됩니다. 설사를 통해 뱃속의 나쁜 균을 내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배가 아프다고 지사제를 복용하기보다는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같이 읽으면 도움 되는 글
더워지는 날씨 식중독 예방법 및 식중독에 좋은 음식
일교차가 심한 요즘 낮에는 거의 한여름 날씨에 가까워지고 있는데요. 더위가 찾아오면서 이와 함께 병원성 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의 위험이 높아졌습니다.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예방법
ikhos.tistory.com
끓였다고 방심하면 안되는 퍼프린젠스 식중독 원인과 예방법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는 식중독에 대해서는 다들 알고 계실 텐데요. 일교차가 큰 봄철에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끓였다고 방심하면 안 되는 퍼프린젠스 식중독의
ikhos.tistory.com
여름철 대표적 식중독인 살모넬라 식중독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살모넬라 균은 계란에서 많이 발견되기 때문에 계란의 보관에 주의하고 요리 전에는 반드시 씻어서 속까지 꼭 익혀서 드시는 것은 추천드립니다. 자칫 잘못하면 목숨까지도 잃을 수 있는 무서운 식중독이니 위에서 알려드린 내용 꼭 기억하셔서 건강한 여름 나시기 바랍니다.